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관리 가이드
해바라기는 국화과의 Helianthus에 속합니다. 이들은 여름에 개화하는 식물이며, 밝은 색상의 아름다운 꽃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바라기속에는 많은 멋진 품종이 있습니다. 이들은 컨테이너나 화단 경계에 자주 사용됩니다. 이들은 또한 훌륭한 꽃꽂이 꽃으로 수확되기도 합니다. 해바라기속은 따뜻한 양지를 좋아합니다. 이들은 단순한 토양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관리하기 쉽습니다.
간단한 관리 가이드
- 해바라기을 기르기 위해 햇살이 얼마나 필요한가요?
- 해바라기에 물을 어떻게 줘야 하나요?
- 해바라기을 어떻게 가지치기 해줘야 하나요?
- 해바라기을 어떻게 심어야 하나요?
- 해바라기을 키우기 위해 어떤 종류의 흙이 필요한가요?
환경 요서
온도, 수분
일조
해바라기속의 묘목, 잎, 두상화(頭狀花)는 강한 굴광성(屈光性)을 보입니다. 충분한 햇살은 묘목을 건강하고 튼튼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합니다. 생장 기간의 중반에는 충분한 햇살이 줄기와 잎, 그리고 꽃눈의 다양성을 키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해바라기가 모든 성장 과정 동안 충분한 햇살을 받는다면, 줄기와 잎이 튼튼해지고, 꽃의 색깔이 선명하고 밝아집니다. 하지만, 비가 계속 오거나, 부분적으로 음지가 있는 곳에 오랜 시간 놓여있었다면, 성장이 저하되고 약해집니다. 줄기는 곧지 않을 것이며, 잎은 노란빛 녹색으로 변하고 축 처질 것입니다. 그리고 두상화(頭狀花)는 작아지고 불규칙해질 것입니다.
토양
일상보호
파종,정식
해바라기속은 일반적으로 늦겨울이나 봄에 파종되며, 파종 후 60에서 70일 후에 개화합니다. 씨앗은 흙에 직파되어야 하며, 씨앗과 씨앗 사이의 공간은 최소 12 cm를 유지해야 합니다. 파종 후, 씨앗을 덮기 위해 미세한 모래를 2 cm 정도 한 겹 덮어줍니다. 그리고, 그 위에 멀치(Mulch)를 덮기 전에 물을 주어야 하지요.
만약 해바라기속이 트레이에 파종된다면, 깊은 트레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트레이 밑 부분에 퇴비를 뿌리고, 물을 줍니다. 그리고 넘치는 물이 밑으로 빠져나오도록 기다린 후, 씨앗을 심습니다. 각각 구멍에 씨앗을 넣고 얇게 한 겹 흙으로 덮습니다. 트레이를 그늘진 곳에 놓고 어린 새싹이 틀 때까지 기다립니다.
묘목이 보이기 시작하면 환기를 해주고, 습도와 온도를 낮춰줍니다. 그리고 점진적으로 햇살에 노출시켜줍니다. 파종 후 이주가 지나면, 묘목은 5 cm 정도 자랄 것입니다. 이때, 묘목을 더 넓은 곳인 10 cm 정도 크기의 화분으로 옮겨 심을 수 있습니다. 해바라기속을 심기 위한 최적의 토양 온도는 15 ℃입니다.
물을주는 것
해바라기속은 성장 단계마다 다른 물의 양을 필요로 합니다. 파종과 옮겨 심기 기간에는 흙이 할상 촉촉해야 합니다. 식물은 충분한 물을 필요로 하는데, 특히, 파종 시기에 물을 많이 줘야 합니다. 이후에, 흙은 여전히 촉촉함을 유지해야 하지만, 너무 많이 젖어서는 안됩니다. 약간의 가뭄은 뿌리의 성장과 식물이 가뭄을 견디는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여름에, 기온이 올라가고 물이 더욱 빨리 증발될 때는, 물을 주는 양을 늘려도 좋습니다. 이는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듦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꽃눈이 나타나고 개화를 하기까지의 기간은 해바라기속에 물이 가장 많이 필요한 기간입니다. 이 시기에는 물이 부족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흙이 너무 건조하다면 물을 줘야 합니다. 해바라기속이 화분에 심어질 때는, 화분이 작음에도 식물의 크기는 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은 화분에는 적은 흙과 충분하지 않은 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생장 기간에는 시기적절하게 물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잎이 충분한 물을 받지 못해 시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흙은 너무 젖어있어서는 안됩니다. 식물 밑 부분의 잎이 노랗게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시비
해바라기를 화분에서 키운다면, 7-10일마다 액상 비료나 복합 비료를 뿌려줘야 합니다. 묘목이 자라는 기간에는 질소 비료를 뿌려주어 줄기와 잎이 풍성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싹이 트기 시작할 때는, 인과 칼륨이 더 포함된 비료를 뿌려줘야 합니다. 이는 싹이 튼튼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고 개화를 촉진합니다.
컷팅
주된 줄기의 왕성한 성장을 위해 해바라기속의 측면에 있는 싹을 제거해 줘야 합니다. 이는 영양분이 여기저기로 너무 많이 분배되어 주된 꽃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경계에 해바라기속을 심었다면, 주된 줄기의 꼭대기 싹을 잘라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줄기에서 4-5개의 꽃이 피어 식물이 약간 낮고 덤불처럼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꽃꽂이를 위한 해바라기속의 경우, 끝눈을 제거해 주어 측면 줄기의 성장을 도와야 합니다. 이후에는 여러 줄기가 자랄 것이며, 7-10개의 꽃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화분에 해바라기 속을 심었다면, 주된 줄기만 남기고 나머지 싹을 잘라내주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경우에는 꽃을 한 송이만 두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수확
꽃꽂이를 위해 재배된 해바라기속은, 가장 바깥쪽의 혀꽃이 피면 수확할 수 있습니다. 기온이 낮은 이른 아침에 이들을 수확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온이 높은 정오나 오후에는 수확을 해서는 안 됩니다. 원예용 가위를 사용하여 줄기의 밑 부분의 꽃차례를 비스듬하게 잘라냅니다. 이는 잘라진 꽃이 물을 더욱 잘 흡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잘라진 꽃차례는 물의 손실을 막기 위해, 깨끗한 물이 담긴 컨테이너에 빨리 담가야 합니다. 만약, 즉시 꽃을 물에 담글 수 없다면, 충분히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줄기의 밑부분을 다시 자른 후 물에 담가야 합니다. 해바라기속은 꽃병에서 여름에는 6-8일, 겨울에는 10-15일 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번식방식
계절성 주의 사항
식물에 무슨 문제가 있나요?
왜 해바라기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시드는 걸까요?
왜 제 해바라기은 늦게 개화하나요? 꽃의 크기가 왜 이렇게 작은가요?
왜 제 해바라기은 가늘고 약한가요?
해바라기는 햇살이 충분하지 않거나, 기온이 30 ℃보다 위로 올라가거나, 너무 물을 많이 받았을 때 가늘고 약해집니다. 줄기가 가늘게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습도를 신경 써야 하며, 흙이 건조할 때 바로 물을 주도록 해야 합니다. 흙에 물이 고이는 것 또한 막아야 하지요.
일반 병충해처리방식
녹병
버짐병
노균병(露菌病)은 묘목이나 성체에 모두 나타날 수 있는 질병입니다. 봄, 토양이 축축한 시기에, 폭우가 내리고 나서 쉽게 발생하는 질병이지요. 처음에는, 잎이 초록빛을 잃고 잎의 뒷면이 하얀 벨벳 같은 곰팡이로 뒤덮입니다. 이 질병은 식물의 성장을 저하하고 왜소증이 발생하게 합니다. 질병이 발전할수록, 색이 사라진 부분이 넓어지고, 잎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죽게 됩니다. 식물은 더 이상 태양을 향하지 않으며, 비정상적인 열매를 맺거나 꽃을 피우지 않습니다. 이 질병에 걸렸다면, 감염된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태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남아있는 부분은 퓨볼(Fubol) 수화제 1:1000 배액이나 이와 비슷한 화학 약품을 뿌려줘야 합니다.
균핵병
균핵병(菌核病)은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고 비가 많이 오는 봄에 많이 발생합니다. 질병이 발색하면, 줄기와 잎에 하얀 균사와 갈색 균핵을 동반한 갈색 점이 나타납니다. 병일 발전할수록, 갈색 점은 식물의 다른 부분으로 퍼지며, 중심을 따라가는 나선형 모양을 형성합니다. 심각한 경우, 식물은 시들어버립니다. 병적으로 영향을 받은 세포가 부식하여, 식물이 굉장히 약해집니다. 감염이 확인되었다면, 살균제를 식물에 뿌려줘야 합니다.
진딧물
진딧물은 종종 해바라기 잎의 밑 부분에서 수액을 빨아들입니다. 이는 잎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말리게 하여 식물의 정상적인 성장에 영향을 줍니다. 심각하지 않은 경우, 차가운 물을 식물에 뿌려 진딧물을 떼어날 수 있습니다. 만약 진딧물의 수가 많다면, 이미다클로프리드 (Imidacloprid)와 같은 살충제를 뿌려, 진딧물을 죽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여러 번 반복해 주어야 합니다.
애우단풍뎅이
애우단풍뎅이는 딱정벌레의 한 종류이며, 해바라기 씨앗이 발아하자마자 이들을 먹잇감으로 삼습니다. 애우단풍뎅이가 발견되면, 이들을 죽이기 위해 살충제를 뿌리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해충 및 질병
아래는 사람들에게 덜 알려졌지만 주의가 필요한 해바라기의 질병과 해충입니다.
- 시듦병
- 균핵병(菌核病)
- 잎마름병

관련 검색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