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달래속
식물 학명: Rhododendron
진달래속
식물 학명: Rhododendron


설명

진달래속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진달래속 관련 종


Rhododendron mollis 'Koster's Brilliant Red'
Rhododendron mollis 'Koster's Brilliant Red'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piciferum
Rhododendron spicifer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atawbiense 'English Roseum'
Rhododendron catawbiense 'English Rose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mariae
Rhododendron maria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argentianum 'Sarled'
Rhododendron sargentianum 'Sarled'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ampylocarpum 'Harvest Moon'
Rhododendron campylocarpum 'Harvest Moon'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fortunei 'Lodauric Iceberg'
Rhododendron fortunei 'Lodauric Iceberg'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innabarinum 'Conroy'
Rhododendron cinnabarinum 'Conroy'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 atlanticum 'Golden Lights'
Rhododendron × atlanticum 'Golden Lights'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Teal'
Rhododendron 'Teal'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atawbiense 'Nova Zembla'
Rhododendron catawbiense 'Nova Zembl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Else Frye'
Rhododendron 'Else Fry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Blue Jay'
Rhododendron 'Blue Jay'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Bric'
Rhododendron 'Bric'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yakushimanum 'Winsome'
Rhododendron yakushimanum 'Winsom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Royal Lodge'
Rhododendron 'Royal Lodg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Mrs T.H. Lowinsky'
Rhododendron 'Mrs T.H. Lowinsky'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Gomer Waterer'
Rhododendron 'Gomer Water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Goldflimmer'
Rhododendron 'Goldflimm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Gibraltar'
Rhododendron 'Gibralta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hristmas Cheer'
Rhododendron 'Christmas Che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Norma'
Rhododendron 'Norm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rest'
Rhododendron 'Crest'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Nancy Evans'
Rhododendron 'Nancy Evans'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urlew'
Rhododendron 'Curlew'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Lem's Monarch'
Rhododendron 'Lem's Monarch'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Dora Amateis'
Rhododendron 'Dora Amateis'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Razorbill'
Rhododendron 'Razorbill'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osmopolitan'
Rhododendron 'Cosmopolitan'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horemia'
Rhododendron 'Choremi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hamrock'
Rhododendron 'Shamrock'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usan'
Rhododendron 'Susan'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Fastuosum Flore Pleno'
Rhododendron 'Fastuosum Flore Pleno'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Germania'
Rhododendron 'Germani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Lady Eleanor Cathcart'
Rhododendron 'Lady Eleanor Cathcart'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Fragrantissimum'
Rhododendron 'Fragrantissim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Temple Belle'
Rhododendron 'Temple Bell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로도덴드론 하우딘젠스
로도덴드론 하우딘젠스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mucronatum 'Narcissiflorum'
Rhododendron mucronatum 'Narcissiflor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argyrophyllum subsp. omeiense
Rhododendron argyrophyllum subsp. omeiens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japonicum
Rhododendron japonic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formosanum
Rhododendron formosan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hyperythrum
Rhododendron hyperythr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occidentale 'Irene Koster'
Rhododendron occidentale 'Irene Kost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minus
Piedmont 진달래 속의 진달래는 테네시, 노스 캐롤라이나, 사우스 캐롤라이나, 그루지아, 알라바마 출신의 진달래 종입니다. 그것에는 2 개의 아종이있다 : Rhododendron 마이너스 var. 채프 마니 (Chapmanii) 및 진달래 (Rhododendron) - var. 마이너스 (후자는 Rhododendron carolinianum으로도 알려짐).

만병초
만병초(Rhododendron ponticum)은 관상용 정원 식물로 인기가 많다. 개화기에 아름다운 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핀다. 꽃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만병초의 꽃으로 생산된 꿀을 먹으면 장과 심장에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눈철쭉
눈철쭉(Rhododendron mucronatum)는 추위에 강한 정원 식물이다. 향기롭고 옅은 노란색 얼룩이 있는 흰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가을에는 잎이 노랗게 변한다. 하루에 2~3시간 동안 해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 나비를 유인하지만 진딧물, 유충, 잎벌레, 흰파리 등을 조심해야 하며 마름병, 잎반점, 뿌리 썩음 등의 병을 유의해야 한다.

진달래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는 봄꽃 중에 가장 화사한 모양새를 갖춘 꽃이다. 철쭉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진달래는 피는 시기가 이르고 꽃이 진 다음 잎이 돋아난다. 대구광역시 비슬산 중턱에서 5월 열리는 비슬산 참꽃문화제가 유명하다.

Rhododendron prinophyllum
높이 1.2 ~ 2.5 m 성장하는 낙엽 관목입니다. 꽃은 핑크입니다.

태평양 철쭉
태평양 철쭉(Rhododendron macrophyllum)은 도로 주변이나 벌채된 공터 같은 곳에서 특히 잘 자라는 상록 관목이다. 아름다운 꽃은 미국 워싱턴주를 대표하는 주화로 선정됐다. 꽃은 주로 분홍색이며 화관에 5개의 열편이 붙어 있다.

알펜로제
알펜로제(Rhododendron ferrugineum)는 스위스의 알프스와 피레네 등 산악 지대가 원산인 식물로, 영하의 추운 날씨도 견딜 수 있다. 정원에서 키울 수 있는 작은 식물 중에 가장 늦게 피는 편이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늦봄에 갑자기 추위가 찾아와 서리가 발생해도 꽃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잎에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영산홍
영산홍의 모습을 보면 철쭉과 구분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를 가장 쉽게 구분하는 법은 수술 개수입니다. 수술이 5개 이하면 영산홍이고 10개 이상이면 진달래나 철쭉입니다. 특히 산철쭉에 비해 키도, 잎도, 꽃도 작으며, 겨울에도 잎이 있어 잎이 길지 않고 동글다는 점에서 진달래, 철쭉과는 그 모습에서 구분됩니다.

미국서부철쭉
미국서부철쭉(Rhododendron occidentale)는 진달래 속의 식물이지만 한반도 진달래가 아닌 미국 캘리포니아 및 오리건 출신의 서양 아이입니다. 꽃을 비교해도 훨씬 크고 색깔도 흰색과 분홍색이 오묘하게 섞인 듯해 확연히 구분됩니다. 아름다운 꽃과 더불어 향기가 진해 산기슭에 꽃이 한번 피면 냄새가 진동해 잊어버리기가 어려운 꽃이며, 매니아층에서 특히 인기가 많습니다.

Rhododendron auriculatum
진달래는 5 ~ 10m의 고소에 이르는 상록수 관목이나 작은 나무로 자랍니다. 나무 껍질은 회색입니다. 어린 가지의 나무 껍질은 조밀하게 선 모양으로 털이 많고 (오래된 나무 가지가 맨살 인 반면)

Rhododendron columbianum
Rhododendron columbianum 은 최대 2 m 관목 지하 뿌리 줄기에 의해 펼쳐집니다. 상록의 잎은 달걀 모양에서 창끝 모양에 반하게 향기가납니다. 꽃은 흰색에서 크림색으로 10 ~ 35 개의 집단이되어 붙습니다.

야생 두견화
야생 두견화(Rhododendron mariesii)는 정원 또는 공원 용수로 사용된다. 잎은 노란색 싹을 틔운 다음 광택이 나는 잎으로 자라나며 더위에 강하다.

로도덴드론 히르수툼
털이 많은 알펜 로즈는 유럽 산에 서식하는 진달래 종 중 하나입니다. 동 알프스에서 발생하며 카르 파티 아의 일부에서 귀화되었습니다. 탄산염이 풍부한 토양에서 자라는 반면 R. ferrugineum은 산성 토양에서 자랍니다. 두 가지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 그들은 종종 Rhododendron × intermedium 하이브리드를 생산합니다.

산진달래
늦봄에 꽃을 피우는 산진달래는 황산차와 비슷하게 생겨 헷갈릴 수 있지만 산진달래가 상대적으로 더 크고 잎은 타원형이며 열매가 더 깁니다. 또한 진달래와도 차이가 있는데 산진달래의 잎은 조금 더 작으며 가죽 같고 끝이 무딥니다. 관상용으로 키우기도 합니다.

비스코숨철쭉
비스코숨철쭉는 다년생 관목 식물이다. 좁은 난형의 잎 위로 달콤한 향기가 나는 흰색의 꽃이 피며, 매우 끈적거리는 화관을 가지고 있다. 뿌리가 절대로 마르면 안 되며, 어느 정도 홍수에도 견디지만 뿌리가 완전히 물에 잠기게 되면 자라지 않는다.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사람, 동물 모두 섭취해서는 안 되며, 이 식물의 꽃으로 만든 꿀에도 독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로도덴드론 아르보레센스
로도덴드론 아르보레센스는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꽃을 피우는 식물로, 꽃은 흰색에서 분홍색까지 다양하며 달콤한 향기가 납니다. 원예용으로 종종 키우지만,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상당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먹으면 안 됩니다.

노봉백산차
관목 높이 최대 51 cm 정도이지만 드물게 2 m 가량되는 것도 있습니다. 상록의 잎을 갖고, 그 길이는 2 ~ 6 cm 가로 3 ~ 15 mm이다. 잎의 표면은 주름이 있으며, 가죽 같은 질감으로 가장자리가 말려 있습니다. 뒷면은 흰색 또는 붉은 갈색의 머리가 밀집 해 자랍니다. 작고 흰 꽃이 반구의 술에 대해 매우 좋은 향기로, 끈끈한 있습니다.

Rhododendron hippophaeoides
잎은 길이가 1.5 인치이고 회색-그린 위, 아래에 황 황색 비늘이 겹쳐 있습니다. 꽃은 밝은 장미 또는 라벤더-파랑에서 푸르스름한 자주색 또는 (드물게) 흰색입니다.

로덴드론 몰
로덴드론 몰는 철쭉과로 북아메리카에서 흔하게 발견되지만, 일본의 고원지대 출신이다. 화려한 모습에 발걸음이 절로 이끌리지만 식물 전체에 유독 성분이 있어 호흡 정지나 신경 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들판에서 소나 말 등의 가축이 먹으면 굉장히 위험할 수 있다. 꽃에는 꿀이 있는데, 달콤한 향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함부로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철쭉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는 한국이 원산지이며 봄철 국내 산자락에 군락지를 형성하며 산 전체를 붉게 물들이는 대표적인 꽃입니다. 봄꽃축제로 유명한 철쭉제는 지역별 연례행사로 소백산철쭉제, 태백산철쭉제, 황매산철쭉제 등이 유명합니다.

Rhododendron luteum 'Whitethroat'
Rhododendron luteum 'Whitethroat'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참꽃나무겨우살이
참꽃나무겨우살이는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도, 평안북도의 양지바른 산지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 1~2m이다. 향기가 좋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2~3.5cm, 타원형, 난형,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의 표면은 녹색, 흰 점이 있다. 뒷면은 처음에는 희고 나중에는 갈색 비늘 조각에 싸인다. 꽃은 총상꽃차례로 흰색이고 화관은 깔때기 모양이며 지름 1cm 가량이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보다 길며, 암술대는 화관통 길이와 거의 같고, 잔털이 있으며, 씨방에는 선점이 있다. 열매는 삭과, 긴 타원형으로 개화기는 5~7월이다.

Rhododendron × gandavense 'Nancy Waterer'
Rhododendron × gandavense 'Nancy Water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pachypodum
Rhododendron pachypodum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Directeur Moerlands'
Rhododendron 'Directeur Moerlands'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cintillation'
Rhododendron 'Scintillation'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Daviesii'
Rhododendron 'Daviesii'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Polar Bear'
Rhododendron 'Polar Bea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Persil'
Rhododendron 'Persil'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Ramapo'
Rhododendron 'Ramapo'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Glowing Embers'
Rhododendron 'Glowing Embers'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Klondyke'
Rhododendron 'Klondyk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alostrotum 'Gigha'
Rhododendron calostrotum 'Gigh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Unique'
Rhododendron 'Uniqu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yakushimanum 'Pink Cherub'
Rhododendron yakushimanum 'Pink Cherub'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Earl of Donoughmore'
Rhododendron 'Earl of Donoughmor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yakushimanum 'Ken Janeck'
Rhododendron yakushimanum 'Ken Janeck'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Saint Tudy'
Rhododendron 'Saint Tudy'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luteum 'Satan'
Rhododendron luteum 'Satan'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catawbiense 'Cunningham's White'
Rhododendron catawbiense 'Cunningham's Whit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Nestucca'
Rhododendron 'Nestucca'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racemosum 'Rock Rose'
Rhododendron racemosum 'Rock Rose'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

Rhododendron 'Blue Peter'
Rhododendron 'Blue Peter'는 춥고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면 잎이 말라 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겨울에 녹색 잎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경우에 따라 겨울에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없이도 봄에 화려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활용되었다. 진달래와 철쭉이 대표적인 품종으로 경상도에서는 진달래꽃이 진 다음에 연달아 피는 철쭉을 '연달래'라 부르기도 한다.